본문 바로가기
여행

[황금연휴] 다시 온다! 추석처럼 쉴 수 있는 ‘다음 황금연휴’ 총정리

by 나우원팁 2025. 10. 10.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올해 추석 연휴는 직장인들에게 정말 특별했다. 개천절과 주말이 절묘하게 이어지며 무려 7일을 쉴 수 있었기 때문이다. 

금요일(10일) 하루 연차를 더하면 최대 10일간의 ‘꿈같은 휴가’도 가능했다.

 

다카마쓰 일본 여

 

목차

     

     황금연휴 또 언제 올까?

      그렇다면 이런 황금연휴, 또 언제 찾아올까? 

    앞으로 25년 동안 달력을 미리 살펴보면 생각보다 몇 번의 긴 연휴가 기다리고 있다. 

    다음 휴가 계획을 세우고 싶은 사람이라면 꼭 체크해두자.

    2028년 추석(10월 2~4일)은 주말과 개천절이 맞물리며 9월 30일부터 10월 5일까지 6일 연휴가 가능하다. 

    여기에 10월 6일 금요일 하루 휴가를 쓰면 한글날(10월 9일)까지 이어져 무려 10일간 쉴 수 있다. 

     

    상상만 해도 설렌다.

    2031년 추석(9월 30일~10월 2일)은 개천절(10월 3일)과 이어져 기본 6일 휴식이 가능하다. 

    전날(9월 29일)에 연차를 내면 최장 9일 연휴가 완성된다. 추석 앞뒤로 여행 계획을 세우기에도 완벽한 일정이다.

     


    2036년은 대체공휴일의 마법이 펼쳐진다. 추석(10월 3~5일)이 개천절과 주말에 겹쳐 평소라면 손해보는 해처럼 보이지만, 대체공휴일이 이틀 생겨 10월 3~7일 닷새 연휴로 바뀐다. 여기에 10월 8일 하루만 휴가를 더하면 한글날까지 이어져 7일간 쉼표를 찍을 수 있다.

    2039년에도 비슷한 상황이 온다. 추석(10월 1~3일)이 개천절과 겹치며 대체공휴일이 이틀 생겨 닷새 연휴가 된다. 한글날과는 이어지지 않지만, 충분히 긴 휴식이다.

    2044년은 ‘초장기 황금연휴’가 예고된 해다. 추석(10월 4~6일) 앞부분이 주말과 개천절에 맞물려 기본 6일 연휴가 되고, 

    한글날 대체공휴일까지 더해지면 10월 1일부터 10일까지 무려 열흘을 쉴 수 있다. 

    여행, 휴식, 자기계발까지 모두 가능한 달력 구조다.

    2047년 추석(10월 3~5일)은 개천절과 토요일이 겹쳐 대체공휴일이 하루 생기며 5일 연휴가 된다. 

    여기에 10월 8일 하루만 연차를 추가하면 한글날까지 이어져 7일 황금연휴가 완성된다.

     


    2050년 추석(9월 29일~10월 1일)은 주말과 개천절이 맞물리며 5일 연휴가 가능하다. 

    명절이 주말에 걸려도 공휴일 효과가 살아나는 시기다.

    추석뿐 아니라 설 연휴도 달력에 따라 4~5일 연속으로 쉴 수 있다. 

    2027년 추석, 2032년 설, 2034년 추석은 월요일이나 금요일에 하루 연차만 내면 6일 이상의 연휴가 된다. 

    징검다리 휴가만 잘 써도 충분히 긴 휴식이 가능하다.

    명절 외에도 2033년과 2041년에는 5월 연휴가 길다. 

    2033년에는 어린이날(5월 5일)과 부처님오신날(5월 6일)이 주말과 이어져 나흘간 쉴 수 있고, 

    2041년에는 어린이날 대체공휴일과 부처님오신날이 연속되어 역시 나흘 연휴가 된다.

    직장인에게 황금연휴는 단순한 쉼을 넘어 ‘삶의 리듬’을 되찾는 시간이다. 

    긴 휴가를 미리 알고 계획해두면 여행, 힐링, 가족과의 시간 모두 놓치지 않을 수 있다. 

    다음 황금연휴, 지금부터 달력에 표시해두자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